라이센스

한국어교원 2급 - 외국어로서의언어교수이론(1)

행복한인생여행자 2024. 7. 6. 11:21
728x90

#외국어로서의언어교수이론 #한국어교원 #한국어자격증

 

1) 국내 한국어 교육의 현황
① 1959년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을 시작으로 1990년대 이후 많은 대학에서 한국어 교육기관을 설립, 운영하고 있음
② 학습자 및 교육 기관의 증가
③ 새로운 한국어 학습 수요층의 대두

 

2) 국외 한국어 교육 현황
① 한글학교, 한국교육원, 세종학당 등에서 한국어 교육 실시
② 정부와 재외동포에 의한 한국어 교육이 주를 이룸
③ 초중등학교에서 한국어를 교육하고 있는 국가가 증가하고 있음
④ 미국, 일본, 호주 등의 국가에서 대입입학 수학능력 시험에 한국어가 추가됨
⑤ 외국대학에 한국어학과 증설

 

교육의 목표
한국인과의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하며, 한국 문화를 많이 알아가는 것
학습자의 수준이 올라갈수록 특정 분야의 어휘를 배우는 등 전문성을 띠기도 함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
학문 목적 : 대학에서 강의를 듣고 이해하며 보고서를 작성하는 등의 학문적인 연구를 목적으로 함
취업 목적 : ‘이주노동자를 위한 교육’과 전문직 종사자를 위한 ‘비즈니스 목적’ 한국어 교육으로 나뉨
                   직장에서 근무하면서 일어나는 상황에 대해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을 정도의 한국어 능력을 요함
이주 목적 : 취업이나 결혼 등으로 한국에 정착한 이주민을 대상으로 정착 및 생활 유지에 필요한 한국어를 교수

                  학습하는 교육으로  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가 우선시되어야 하며, 일상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가지는 것을 

                  목표로 함

 

다문화가정 자녀 대상
정상적인 언어 발달을 위한 한국어 학습과 문화 교육이 필요하며 부모로부터 배우기 힘든 한국문화나 지식 요소와 통합한 한국어에 대한 체계적인 교수를 교육 내용으로 함

 

재외동포 대상
해외에 거주하는 동포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으로, 한민족으로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의 이해와 자아 정체성 확립에 목표를 두고 있음

 

귀국 자녀 대상
일시적으로 국외에 거주했다가 귀국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이들이 학교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한국어 학습과 지식, 문화와 생활 규칙을 가르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음

한국어 교사 의 역할과 자질
한국어에 관한 지식, 언어 교수법에 대한 지식, 한국어 교수 방법에 관한 실무적 지식,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 타(他)언어 및 문화에 대한 관심과 타인에 대한 관심과 열린 마음을 가져야 함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
① 학부,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의 학위 과정 또는 학점은행제를 거치거나 비학위 한국어 교원 양성기관(120시간 이수 후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응시 가능)에서 과정을 이수해야 함
② 국어기본법 시행령에 따라 한국어 교원 자격 취득에 필요한 영역별 필수 이수학점 및 필수 이수시간을 준수해야 함. 
     (한국어학과 일반 언어학 및 응용 언어학, 한국어교육론, 한국문화, 한국어교육 실습)

한국어 교육 현장의 이해
① 한국어 교육의 비약적인 발전
② 한국 내의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
③ 한류의 영향
④ 국가 차원의 한국어 교원 지원 정책

 

한국어 교육의 미래 : 한국어 수요층의 변화로 전반적인 한국어 교육의 틀을 재정비해야 함,  교육 수요자 수준에 맞는 교육 체제 구축이 필요함 , 다문화주의를 지향하는 다문화교육이 필요함 , 국외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해 정부 주도의 컨트롤 타워를 구축해 기존의 한국어 정책과 사업을 통합할 필요가 있음 ,한국어 교원 자격의 제도화로 전문성을 갖춘 교사를 양성해야 함

① 한글학교, 한국교육원, 세종학당 등에서 한국어 교육 실시
한국 내의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
한국어 교육의 비약적인 발전
한류의 영향
국가 차원의 한국어 교원 지원 정책
학부,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의 학위 과정
대학에서 강의를 듣고 이해하며 보고서를 작성하는 등의 학문적인 연구를 목적으로 함
한국어교원 자격증

728x90